®2024

®2024

[vol.17] 12, September

[vol.17] 12, September

요즘 뜨는 패션 쇼핑 플랫폼의 공식
중국 쇼핑 플랫폼

요즘 테무, 알리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예전 같으면 MADE IN CHINA는 의심부터 했겠지만, 지금은 다르다.
단순히 싼 가격이라서가 아니다. 사람들이 진짜 빠져든 건 득템의 경험이다.
가볍게 담았다가 생각보다 괜찮은 걸 건졌을 때 오는 쾌감이 재미가 되고, 곧 콘텐츠가 된다.

이제 플랫폼 경쟁에서 물건이나 가격은 후순위다.
소비자가 빠져들고 반복하게 되는 경험을 얼마나 잘 설계하느냐가 플랫폼의 힘이다.



What's happening?
What's happening?

판을 흔드는 중국발 쇼핑 플랫폼

판을 흔드는 중국발 쇼핑 플랫폼

판을 흔드는 중국발 쇼핑 플랫폼


Source | Sometrend, Blog&Community, 2023.01.01 ~ 2025.06.30


국내 쇼핑 플랫폼의 성장세가 둔화되는 사이, 중국발 플랫폼들이 거침없이 치고 올라오고 있다.
테무는 등장과 동시에 폭발적인 성장률을 기록하며 단숨에 주목받고 있고,
알리익스프레스쉬인 역시 꾸준히 한국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

소셜 언급량에서는 여전히 무신사가 압도적이지만, 중국 플랫폼들은
무신사·29CM와는 다른 방식으로 소비자들의 선택지를 넓히며 빠르게 자리 잡는 중이다.



테무 (Temu)

전략
가격 파괴 + 공격적인 마케팅


특징
✔ '삼각김밥 가격으로 사는 핸드폰 케이스'와 같은 극단적인 가격 경쟁력
✔ 게임화된 프로모션 (쿠폰 룰렛, 구매 크레딧 등)으로 바이럴 확산
✔ 무료반품, 무료배송으로 진입장벽을 없앰
✔ 의류 / 잡화 / 가전 / 취미까지 폭넓은 제품 카테고리



알리익스프레스 (AliExpress)

전략
글로벌 직구 + 다양한 셀러


특징
✔ 중국을 넘어, 전 세계 셀러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초대형 플랫폼
✔ 카테고리 폭이 넓고, 특히 전자기기 용품 / 생활용품에 강점
✔ 도매와 소매의 경계가 흐려진, 누구나 도매가로 쇼핑하는 느낌



쉬인 (SHEIN)

전략
초패스트패션 + 초저가 의류

특징
✔ 디자인 → 생산 → 출시 초단기 사이클 (ZARA, H&M보다도 빠름)
✔ 트렌드 반영 속도가 빠르며, 여성 타겟 SNS 마케팅 특화
✔ 패션 / 액세서리 카테고리에 집중하며, Z세대 여성 소비자 공략





Source | Sometrend, Blog&Community, 2023.01.01 ~ 2025.06.30


국내 쇼핑 플랫폼의 성장세가 둔화되는 사이, 중국발 플랫폼들이 거침없이 치고 올라오고 있다.
테무는 등장과 동시에 폭발적인 성장률을 기록하며 단숨에 주목받고 있고,
알리익스프레스쉬인 역시 꾸준히 한국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

소셜 언급량에서는 여전히 무신사가 압도적이지만, 중국 플랫폼들은
무신사·29CM와는 다른 방식으로 소비자들의 선택지를 넓히며 빠르게 자리 잡는 중이다.



테무 (Temu)

전략
가격 파괴 + 공격적인 마케팅


특징
✔ '삼각김밥 가격으로 사는 핸드폰 케이스'와 같은 극단적인 가격 경쟁력
✔ 게임화된 프로모션 (쿠폰 룰렛, 구매 크레딧 등)으로 바이럴 확산
✔ 무료반품, 무료배송으로 진입장벽을 없앰
✔ 의류 / 잡화 / 가전 / 취미까지 폭넓은 제품 카테고리



알리익스프레스 (AliExpress)

전략
글로벌 직구 + 다양한 셀러


특징
✔ 중국을 넘어, 전 세계 셀러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초대형 플랫폼
✔ 카테고리 폭이 넓고, 특히 전자기기 용품 / 생활용품에 강점
✔ 도매와 소매의 경계가 흐려진, 누구나 도매가로 쇼핑하는 느낌



쉬인 (SHEIN)

전략
초패스트패션 + 초저가 의류

특징
✔ 디자인 → 생산 → 출시 초단기 사이클 (ZARA, H&M보다도 빠름)
✔ 트렌드 반영 속도가 빠르며, 여성 타겟 SNS 마케팅 특화
✔ 패션 / 액세서리 카테고리에 집중하며, Z세대 여성 소비자 공략





Source | Sometrend, Blog&Community, 2023.01.01 ~ 2025.06.30


국내 쇼핑 플랫폼의 성장세가 둔화되는 사이, 중국발 플랫폼들이 거침없이 치고 올라오고 있다.
테무는 등장과 동시에 폭발적인 성장률을 기록하며 단숨에 주목받고 있고,
알리익스프레스쉬인 역시 꾸준히 한국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

소셜 언급량에서는 여전히 무신사가 압도적이지만, 중국 플랫폼들은
무신사·29CM와는 다른 방식으로 소비자들의 선택지를 넓히며 빠르게 자리 잡는 중이다.



테무 (Temu)

전략
가격 파괴 + 공격적인 마케팅


특징
✔ '삼각김밥 가격으로 사는 핸드폰 케이스'와 같은 극단적인 가격 경쟁력
✔ 게임화된 프로모션 (쿠폰 룰렛, 구매 크레딧 등)으로 바이럴 확산
✔ 무료반품, 무료배송으로 진입장벽을 없앰
✔ 의류 / 잡화 / 가전 / 취미까지 폭넓은 제품 카테고리



알리익스프레스 (AliExpress)

전략
글로벌 직구 + 다양한 셀러


특징
✔ 중국을 넘어, 전 세계 셀러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초대형 플랫폼
✔ 카테고리 폭이 넓고, 특히 전자기기 용품 / 생활용품에 강점
✔ 도매와 소매의 경계가 흐려진, 누구나 도매가로 쇼핑하는 느낌



쉬인 (SHEIN)

전략
초패스트패션 + 초저가 의류

특징
✔ 디자인 → 생산 → 출시 초단기 사이클 (ZARA, H&M보다도 빠름)
✔ 트렌드 반영 속도가 빠르며, 여성 타겟 SNS 마케팅 특화
✔ 패션 / 액세서리 카테고리에 집중하며, Z세대 여성 소비자 공략




Trend Bites
경험으로 경쟁하는 국내 플랫폼
경험으로 경쟁하는 국내 플랫폼
경험으로 경쟁하는 국내 플랫폼



한편, 국내 쇼핑 플랫폼 중에서는 무신사29CM가 여전히 확실한 존재감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 | X, 유튜브 '무진장 블프' 검색결과

무신사는 블랙프라이데이를 비롯한 '세일' 리추얼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다.
지난 6월 진행된 '무진장 2025 여름 블랙프라이데이' 는
시간당 5만개의 제품을 판매하며 11일간 약 2,5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출처 | 스레드, 유튜브 '29CM' 검색 결과

반면 29CM는 대중적 가격 경쟁보다 '감도'와 '취향'을 키워드로 한다.
세심하게 큐레이션된 상품 추천과 감각적인 톤앤매너는 단순히 물건을 사는 경험을 넘어,
나를 위해 맞춤 설계된 라이프스타일을 소비하는 경험으로 확장된다.

(29CM의 큐레이션에 대해서는 앞서 발행된 vol.15를 참고)


무신사가 국민 쇼핑 루틴을 대표한다면, 29CM는 개인의 취향 업그레이드를 대표하는 셈이다.
중국발 플랫폼의 무차별적인 가격 공세와 달리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구축하며 균형을 맞추고 있다.



Trend Code
Trend Code

"

"

호기심에서 구매까지, 중국 플랫폼이 설계하는 소비 여정

호기심에서 구매까지, 중국 플랫폼이 설계하는 소비 여정

호기심에서 구매까지, 중국 플랫폼이 설계하는 소비 여정


Source | Sometrend, Blog&Community, 2023.01.01 ~ 2025.06.30


다시 중국으로 돌아가보자.


알리, 테무, 쉬인의 성장이 단순히 가격 경쟁력 때문만은 아니다.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쇼핑 여정 자체가 독특하게 설계되어 있다.

처음에는 'OO깡, OO하울' 영상을 통해 호기심을 자극하고,
이어 쿠폰과 할인코드 같은 공격적인 프로모션이 구매를 유도한다.
("당신이 본 상품, 잔여 수량 3개"와 같이 사람을 안달나게 하는 방식으로)

구매 후에는 "0.1도 기대 안했는데 생각보다 고퀄이다?"라는 만족감이 마음을 붙잡는다.
이 경험은 다시 재구매와 리뷰 확산으로 이어지고, 득템과 발견의 재미는 구매에 중독성을 강화한다.


< 호기심 → 가격 매력 → 만족 → 중독> 이라는 사이클을 만들어내며,
가격 공세 이상의 강력한 소비 습관을 심어주고 있다.





Source | Sometrend, Blog&Community, 2023.01.01 ~ 2025.06.30


다시 중국으로 돌아가보자.


알리, 테무, 쉬인의 성장이 단순히 가격 경쟁력 때문만은 아니다.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쇼핑 여정 자체가 독특하게 설계되어 있다.

처음에는 'OO깡, OO하울' 영상을 통해 호기심을 자극하고,
이어 쿠폰과 할인코드 같은 공격적인 프로모션이 구매를 유도한다.
("당신이 본 상품, 잔여 수량 3개"와 같이 사람을 안달나게 하는 방식으로)

구매 후에는 "0.1도 기대 안했는데 생각보다 고퀄이다?"라는 만족감이 마음을 붙잡는다.
이 경험은 다시 재구매와 리뷰 확산으로 이어지고, 득템과 발견의 재미는 구매에 중독성을 강화한다.


< 호기심 → 가격 매력 → 만족 → 중독> 이라는 사이클을 만들어내며,
가격 공세 이상의 강력한 소비 습관을 심어주고 있다.




<17화를 마치며>

<17화를 마치며>


언제였던가… 스트레스 풀고 싶어서 테무에서
아이폰 케이스를 무려 7개나 충동구매 했토 (지갑이 얇아).
배송 와서 열어보니, 이거이거 기대는 없었는데 꽤 쓸만한데?
그 순간 딱 랜덤박스 뜯는 기분이었달까.
그렇게 중독되었고, 내 작은 즐거움은 퇴근길 다이소가 아닌 테무에서 찾게 되었토.

어쩌면 백화점도 똑같지 않겠토?
고객에 작은 발견과 즐거움만 심어줘도, 다시 오고 싶은 힘이 생길 거라 생각 🚀


이번 트렌드는
어땠토?

이번 트렌드는
어땠토?

이번 트렌드는
어땠토?

오늘 인사이트에 대한 소감을 말해주세요
새로 알고 싶은 트렌드도 항상 환영해요

오늘 인사이트에 대한 소감을 말해주세요
새로 알고 싶은 트렌드도 항상 환영해요

오늘 인사이트에 대한 소감을 말해주세요
새로 알고 싶은 트렌드도 항상 환영해요

이번 주 가장 재미있는 것들,
구독하면 너도 바로 알 수 있토!


2025 ® THE HYUNDAI COMM. TEAM

이번 주 가장 재미있는 것들,
구독하면 너도 바로 알 수 있토!


2025 ® THE HYUNDAI COMM. TEAM

이번 주 가장 재미있는 것들,
구독하면 너도 바로 알 수 있토!


2025 ® THE HYUNDAI COMM. TEAM

이번 주 가장 재미있는 것들,
구독하면 너도 바로 알 수 있토!


2025 ® THE HYUNDAI COMM. TEAM